git init -->현재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git리포지토리 생성
git status -->파일의 상태 확인하기( Untracked, Unmodified, Modified, Staged)
git add 파일 이름 --> 커밋 해주기전 꼭 해줘야 하는 단계
위 코드에서 보면 git add를 해주고 status를 확인하면 untracked file에서 커밋할 변경사항으로 바뀐것을 알수 있다.
이 처럼 git add는 파일이나 폴더를 커밋 대상으로 변경시켜 준다.
git commit -m"커밋 메시지" --> 커밋하여 git에 저장
git branch --> branch의 종류를 알려준다.
git branch 브랜치 이름 --> branch 생성
git checkout 브랜치 이름 --> 원하는 branch 선택
git merge --> 서로 다른 branch에서 작업을 했을 경우 작업 내용을 합칠때 사용
merge 충돌
2개의 branch 생성
hello.html을 각각 다르게 Test_Branch에서, master에서 수정
그후 git merge를 통해 합쳐주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생성된다.
이 처럼 충돌이 발생하면 Auto-merging 전략으로 해결할 수 있다.
gitk 명령어 ==> 저장소 또는 선택한 커밋 세트의 변경 사항을 표시합니다. 여기에는 커밋 그래프 시각화, 각 커밋과 관련된 정보 표시, 각 개정 트리의 파일 표시가 포함됩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외부 리포지토리 변경 사항 병합하는 법 (0) | 2025.02.01 |
---|---|
git bash로 깃허브에 푸시 하는 법 (0) | 2024.05.08 |
github 코드 intellij로 불러오고 나의 리포지토리에 push하는 방법 (1) | 2024.05.04 |
git 사용법(2) (2) | 2024.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