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Redis 3

Spring Boot + Redis를 활용한 Refresh Token 기능 구현

Access Token만 사용할때의 문제점 Access Token은 사용자 인증과 인가에 직접 사용되므로 상대적으로 짧은 만료 기간(30분 ~ 1시간)을 갖는다.이렇게 짧은 유효기간을 유지하는 이유는 토큰을 탈취당했을 경우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만약 Access Token의 유효 기간을 길게 설정하게 되면 탈취된 토큰을 활용할 수 있는 시간도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Access Token의 짧은 유효기간은 보안상 좋은점도 있지만, 사용자가 자주 로그인을 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만약 짧은 유효기간의 Access Token만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중에 갑자기 로그아웃 되거나 오류 메시지를 보게 되어 곤란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 Refresh Token의 활용 이러한 문제를 ..

BackEnd/Redis 2025.08.24

Redis DB서버 구성

Replication(복제) Master 노드는 쓰기(Write)작업을 처리하고, 여러 Slave노드가 Master 노드의 데이터를 복제하여 읽기 작업을 처리한다.읽기 요청을 여러 Slave 노드에 분산하여 트래픽 분산을 통해 처리 성능 향상Master 노드에 장애가 발생해도 Slave 노드들이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애 복구에 좋다.Master는 쓰기, Slave는 읽기 작업을 담당하여 Master 노드의 부하 감소수평적 확장 가능 Redis 클러스터 구성최소 3개의 노드를 가지고 각 노드는 Master와 Slave 로 구성되어있다.데이터를 여러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함으로써 고가용성과 확장성을 제공여러 노드에 데이터를 무작위로 분산 저장하면, 클라이언트가 어떤 노드에 특정 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

BackEnd/Redis 2025.08.22

Redis(Remote Dictionary Server)란?

Redis란?Redis는 고성능의 키-값(key-value) 저장소로, 거대한 맵(Map) 데이터 저장소형태를 가지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빠른 읽기와 쓰기를 지원하는 오픈 소스 기반의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Redis의 특징 1. 고성능RDB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는 디스크 기반의 저장 방식을 사용한다.디스크 기반의 저장 방식은 메모리 저장 방식에 비해 데이터를 오래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식에 비해 처리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Redis는 데이터를 디스크에 쓰는 구조가 아니라,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매우 빠르다.또한 Redis도 필요시 디스크에 스냅샷 ..

BackEnd/Redis 2025.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