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 99

[Redis] 캐싱을 이용한 간단한 성능 개선 테스트(Apache JMeter)

Redis 캐싱을 이용해 조회성능 테스트를 진행했다. 캐싱이란? 캐싱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소(캐시)에 보관하여, 데이터 조회 속도를 높이고 시스템 부하를 줄이는 기술이다. 캐싱을 사용하게 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반환 함으로써 디스크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캐싱 기술은 웹 서비스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무작정 사용한다면 오히려 성능 저하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캐싱 전략 선택시 고려사항데이터의 변경 빈도 : 캐싱에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가변성이 높다면 캐시 데이터가 최신 데이터를 반영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잦은 캐시 무효화와 재생성으로 인해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데이터를 한번 쓰고 여러번 읽는 경우..

BackEnd/Redis 2025.08.25

Spring Boot + Redis를 활용한 Refresh Token 기능 구현

Access Token만 사용할때의 문제점 Access Token은 사용자 인증과 인가에 직접 사용되므로 상대적으로 짧은 만료 기간(30분 ~ 1시간)을 갖는다.이렇게 짧은 유효기간을 유지하는 이유는 토큰을 탈취당했을 경우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만약 Access Token의 유효 기간을 길게 설정하게 되면 탈취된 토큰을 활용할 수 있는 시간도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Access Token의 짧은 유효기간은 보안상 좋은점도 있지만, 사용자가 자주 로그인을 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만약 짧은 유효기간의 Access Token만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중에 갑자기 로그아웃 되거나 오류 메시지를 보게 되어 곤란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 Refresh Token의 활용 이러한 문제를 ..

BackEnd/Redis 2025.08.24

CORS란? Spring Boot에서 CORS 정책 설정

Origin이란?Origin은 출처를 의미한다. URL에서 Protocol, Host, Port가 같으면 동일한 Origin임을 의미한다. SOP(Same Origin Policy)만약 Origin이 다른 두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게되면 보안상 치명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다.XSS(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CSRF(사이트 요청 위조) 공격에 취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같은 Origin만 끼리만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 정책을 SOP(Same Origin Policy)라고 부른다. 하지만 다른 Origin에서의 요청을 허용해줘야 하는 경우도 존재한다.예를 들면 프론트엔드 서버에서 백엔드 서버로 요청을 보낼 경우 이 요청을 막아버린다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간 통신이 불가..

BackEnd/spring 2025.08.22

Redis DB서버 구성

Replication(복제) Master 노드는 쓰기(Write)작업을 처리하고, 여러 Slave노드가 Master 노드의 데이터를 복제하여 읽기 작업을 처리한다.읽기 요청을 여러 Slave 노드에 분산하여 트래픽 분산을 통해 처리 성능 향상Master 노드에 장애가 발생해도 Slave 노드들이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애 복구에 좋다.Master는 쓰기, Slave는 읽기 작업을 담당하여 Master 노드의 부하 감소수평적 확장 가능 Redis 클러스터 구성최소 3개의 노드를 가지고 각 노드는 Master와 Slave 로 구성되어있다.데이터를 여러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함으로써 고가용성과 확장성을 제공여러 노드에 데이터를 무작위로 분산 저장하면, 클라이언트가 어떤 노드에 특정 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

BackEnd/Redis 2025.08.22

Redis(Remote Dictionary Server)란?

Redis란?Redis는 고성능의 키-값(key-value) 저장소로, 거대한 맵(Map) 데이터 저장소형태를 가지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빠른 읽기와 쓰기를 지원하는 오픈 소스 기반의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Redis의 특징 1. 고성능RDB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는 디스크 기반의 저장 방식을 사용한다.디스크 기반의 저장 방식은 메모리 저장 방식에 비해 데이터를 오래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식에 비해 처리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Redis는 데이터를 디스크에 쓰는 구조가 아니라,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매우 빠르다.또한 Redis도 필요시 디스크에 스냅샷 ..

BackEnd/Redis 2025.08.21

[Kafka] MSA 구조에서의 Kafka 사용

MSA(Microservice Architecture)란?MSA는 큰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고 독립적인 서비스로 나누어 개발하고 운영하는 아키텍처이다. 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배포와 확장이 가능하고, 명확히 분리된 API로 통신을 하게 된다. MSA의 특징독립적으로 개발, 배포, 확장 가능API 기반의 통신으로 서비스 간 느슨한 결합 유지서비스 마다 서로 다른 언어나 기술 스택 사용 가능장애 격리 : 특정 서비스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 최소화 이러한 MSA와 같은 분산환경에서 Kafka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서비스간 직접 호출 대신 Kafka 메시지 큐를 통해 이벤트 기반의 통신을 통해 서로 의존성을 줄일 수 있고, 비동기 작업 처리로 응답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Kafka의 토..

BackEnd/Kafka 2025.08.19

[Kafka] Kafka의 고가용성

node란?Kafka가 설치되어 있는 서버 단위싱글노드 클러스터의 경우, 한 노드의 고장이 서비스 장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최소 3대의 노드를 구성하여 단일점 오류를 방지한다. 브로커(broker)와 컨트롤러(controller)Kafka 서버는 크게 브로커와 컨트롤러로 구성되어있다.브로커 : 메시지를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역할 (9092 포트)컨트롤러 : 브로커들간의 연동과 전반적인 클러스터의 상태를 총괄한다.(9093 포트) 레플리케이션(Replication)이란?Kafka의 가용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토픽의 파티션을 여러 노드에 복제하는 것을 의미.리더 파티션과 팔로워 파티션으로 구분된다.리더 파티션 : 프로듀서나 컨슈머가 직접 메시지를 읽고 쓰는 파티션팔로워 파티션 : 리..

BackEnd/Kafka 2025.08.18

[Kafka] Kafka 메시지 처리 성능 향상 (Partition)

Partition이란? 큐(메시지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를 여러개로 늘려서 병렬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본 단위이다.즉, Topic을 여러개의 물리적 단위로 분할한 것. 이러한 Partition이라는 개념이 Kafka에서 주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여러개의 Consumer가 각각의 파티션을 병렬적으로 읽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파티션 수와 Consumer 수를 늘려서 데이터 처리량 향상수평적 확장 가능 Partition 수는 토픽을 생성할 때 설정할 수 있다.$ bin/kafka-topics.sh \--bootstrap-server \--create \--topic \--partitions 나는 email.send라는 Topic에 Partition을 3개 생성했고, Partiti..

BackEnd/Kafka 2025.08.15

[Kafka] Dead Letter Topic

Producer에서 메시지를 Kafka로 전송하고 Consumer가 처리를 해야하는데 Consumer에서 메시지를 처리하지 못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Kafka에서는 재시도(Retry)정책을 통해 메시지 처리에 실패 했을때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 재전송과 관련된 정책은 @RetryableTopic에서 정의할 수 있다.attempts : 재전송 시도 횟수backoff : 재전송 시간 간격 정의, multiplier를 2로 정의할 경우 재전송 간격이 2배씩 증가.dltTopicSufflix : dlt Topic의 접미사 정의@KafkaListener( topics = "email.send", groupId = "email-send-group")@RetryableTopic( ..

BackEnd/Kafka 2025.08.14

Spring Boot + Kafka 메시지 테스트

Spring Boot로 Producer와 Consumer 서버를 생성하고 Kafka Server에 메시지를 넣어 통신하는 것을 실습했다. 준비물Producer 프로젝트 (Spring Boot)Consumer 프로젝트 (Spring Boot)Kafka Server(EC2) 구현 로직클라이언트가 REST API(`/api/emails`)로 이메일 발송 요청(JSON)을 보냄Producer(Spring Boot 서비스)가 요청을 받아서 Kafka 토픽(“email.send”)에 메시지를 발행Kafka 브로커는 그 메시지를 해당 토픽에 저장Consumer(Spring Boot 서비스)가 토픽을 구독하다가 새 메시지를 읽음Consumer가 JSON을 EmailSendMessage 객체로 변환Consumer에서 실..

BackEnd/Kafka 2025.08.14